소득세율 구조 쉽게 이해하기

소득세율 구조 쉽게 이해하기

월급날 통장을 열어보면 기분이 좋다가도, 빠져나간 세금 항목을 보면 ‘도대체 이 계산은 어떻게 하는 거야?’ 하고 고개를 갸웃한 적 있으실 거예요. 저도 사회초년생 시절, 소득세율표를 처음 마주했을 때 숫자와 퍼센트가 줄줄이 나열돼 있는 걸 보고 ‘이걸 다 외워야 하나?’ 싶었습니다. 소득세는 소득이 늘어날수록 조금 더 많은 세금을 내는 구조로 되어있는데요. 오늘은 소득세율 구조에 대해서 뜯어보겠습니다.

처음 소득세율표를 보면 ‘구간별로 세율이 다르고, 거기에 누진공제라는 것도 있네?’ 하면서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사실 이건 정부가 소득이 많은 사람일수록 조금 더 많은 세금을 부담하도록 설계한 구조 때문이에요. 쉽게 말해, 소득이 적은 사람은 가볍게, 소득이 많아질수록 점점 더 무겁게 세금이 붙는 방식이죠. 저도 첫 직장에서 연봉이 2천만 원대였을 때는 세금이 그렇게 크게 느껴지지 않았는데요. 이후 연봉이 오르면서 매달 떼어가는 세금이 확실히 늘어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게 바로 누진세구나’ 하고 느꼈던 순간이었죠.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소득세율은 아래처럼 8단계로 나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내가 딱 어느 구간에 속한다고 해서 전부 그 세율이 적용되는 게 아니라는 거예요. 구간별로 나눠서 계산한 뒤 마지막에 누진공제를 적용해 세금을 줄여주는 방식입니다.

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
14,000,000원 이하6%
14,000,000원 초과 ~ 50,000,000원 이하15%1,260,000원
50,000,000원 초과 ~ 88,000,000원 이하24%5,760,000원
88,000,000원 초과 ~ 150,000,000원 이하35%15,440,000원
150,000,000원 초과 ~ 300,000,000원 이하38%19,940,000원
300,000,000원 초과 ~ 500,000,000원 이하40%25,940,000원
500,000,000원 초과 ~ 1,000,000,000원 이하42%35,940,000원
1,000,000,000원 초과45%65,940,000원

이론만 보면 어렵게 느껴지니까, 예시로 풀어볼게요.

예를 들어 연 소득이 3천만 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3천만 원은 ‘1,400만 원 초과 5천만 원 이하’ 구간에 들어갑니다.

  • 세율은 15%인데, 누진공제 1,260,000원을 빼줘야 해요.
  • 즉, 30,000,000 × 15% – 1,260,000 = 3,240,000원이 실제 세금입니다.

또 다른 예시로, 연 소득이 6천만 원이라면 ‘5천만 원 초과 8천8백만 원 이하’ 구간입니다.

  • 세율은 24%이고, 누진공제는 5,760,000원입니다.
  • 계산하면 60,000,000 × 24% – 5,760,000 = 8,640,000원이 됩니다.

이런 식으로 각 구간마다 세율을 곱한 후, 누진공제를 차감해 주는 방식으로 세금을 계산합니다.

연봉 구간별 예상 세금표

연봉(총급여)해당 과세표준 구간적용 세율누진공제산출세액(예상)
20,000,000원14~50백만 원 구간15%1,260,000원1,740,000원
30,000,000원14~50백만 원 구간15%1,260,000원3,240,000원
50,000,000원14~50백만 원 구간15%1,260,000원6,240,000원
60,000,000원50~88백만 원 구간24%5,760,000원8,640,000원
80,000,000원50~88백만 원 구간24%5,760,000원13,440,000원
100,000,000원88~150백만 원 구간35%15,440,000원19,560,000원

이 표를 보면 연봉이 늘어날수록 세금이 점점 더 커지는 구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6천만 원 소득자의 세율이 24%라고 해도 실제 전체 소득에 24%가 붙는 게 아니라 일정 금액을 차감(누진공제)한 뒤 세금이 계산됩니다.

회사에 다니는 분들은 월급에서 매달 원천징수 되는 세금이 보일 거예요. 그런데 이게 연말정산으로 확정되기 전의 잠정적인 금액이라, 연말정산에서 환급을 받거나 추가 납부를 하게 됩니다. 저도 첫 해에는 환급을 받아서 ‘13월의 월급’이라는 말에 공감했는데요. 이듬해에는 오히려 추가로 세금을 내야 해서 당황했던 기억이 있어요. 이때 ‘내가 어떤 공제를 더 챙길 수 있었을까’를 고민하게 되더라고요.

세율 구조 자체는 우리가 바꿀 수 없지만, 절세는 가능합니다. 신용카드 사용액,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개인연금저축, IRP(개인형 퇴직연금) 등을 얼마나 활용하느냐에 따라 실제 세금 부담이 달라지거든요. 저는 최근 몇 년간 IRP 계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세액공제 혜택을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이런 경험이 누적되면서 소득세 구조가 제 생활 속에서 더 실감 나게 다가왔습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소득세율 구조는 처음엔 낯설지만 원리를 알게 되면 오히려 생활 속에서 재미있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내가 번 돈에서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이해하는 순간,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내 삶과 연결된 흐름으로 다가오니까요. 마치 퍼즐을 맞추듯 소득세율표를 읽다 보면, 어느새 ‘이제는 나도 세금 얘기를 남한테 설명해줄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깁니다. 다음 번 월급 명세서를 볼 때, 빠져나간 세금이 얄밉게만 보이지 않고 ‘아, 이게 이렇게 계산된 거였구나’ 하고 고개를 끄덕이는 순간이 올 거예요. 세금은 피할 수 없지만, 이해하는 건 충분히 가능합니다. 이제 소득세율 구조는 더 이상 두려운 숫자가 아니라, 여러분이 주도적으로 다룰 수 있는 도구가 될 거예요.

답글 남기기